티스토리 뷰
'자동차보험 비교·추천 2.0' 출시…온라인 채널·보험료 일원화
https://www.korea.kr/news/policyNewsView.do?newsId=148940739&call_from=media_daum&kakao_from=mainnews
- 보험사 온라인 채널(CM)과 보험료를 일원화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높인 '자동차보험 비교·추천서비스 2.0'을 시작
- 보험사 온라인채널(CM)과 플랫폼 보험료 일원화로 소비자의 번거로움 해소
- 네이버페이, 토스가 먼저 서비스를 출시하고, 해빗팩토리와 카카오페이는 차후 출시 예정
전 분야 마이데이터 시행(3.13.), 국민의 데이터 주권 시대가 열린다
https://www.pipc.go.kr/np/cop/bbs/selectBoardArticle.do?bbsId=BS074&mCode=C020010000&nttId=11053#LINK
-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으로 전 분야에 마이데이터(개인정보 전송요구권) 제도가 3월 13일부터 시행
- 의료, 통신, 에너지 분야부터 우선 시행되며, 단계적으로 나머지 10대 중점분야로 확대될 예정
보험 규제 강화에…'당국 vs 보험사·GA' 힘겨루기
https://v.daum.net/v/20250317181453248
- 금융당국은 'GA 운영위험 평가 제도'를 신설하여, GA의 보험계약 유지율, 불완전판매 비율, 수수료 정책 등을 종합 평가할 계획
- '제3자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'을 도입하여 보험사의 위탁 업무에 대한 리스크 관리 체계 마련을 요구
보험 자본규제 24년만에 낮춘다...더 센 '기본자본' 도입
https://v.daum.net/v/20250312120011888
- 금융당국은 보험사의 자본건전성 유지를 위해 보험금 지급여력비율(킥스) 기준을 현행 150%에서 130~140%로 완화 예정
2024 생보·손보계약, 13·25회차 '유지율' TOP 5
https://www.insjournal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5804
- 보험 계약 체결도 중요하지만, 계약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중요(유지율이 높을수록 상품 경쟁력과 고객 만족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)
- 13회차 유지율: 생명보험 85.7%, 손해보험 84.2%
- 25회차 유지율: 생명보험 66.9%, 손해보험 68.8%
노년에 연금받는 종신보험 '유동화'…20·30대 가입 확대 기대감↑
https://v.daum.net/v/20250313175706212
- 정부가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을 연금처럼 쓸 수 있게 하는 방안을 3분기부터 확정
- 20·30대 청년층의 종신보험 가입률은 50~60% 수준으로 낮은 편
- 사망보험금 유동화로 65세 이후 노후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청년층의 신규 수요가 생길 것으로 전망
"요양시설 토지 용도제한 부분 허용"…보험사 요양산업 커진다
https://v.daum.net/v/20250316120005129
- 금융당국 보험사 자회사가 요양, 건강관리(헬스케어), 장기임대 관련 새로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
- 보험산업이 환경변화에 대응해 새로운 서비스를 수행하고 국민의 노후대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및 고령층 지원상품 등을 출시
실손 청구 전산화 운영비 논의…장기화 조짐
https://www.fin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03571
- 현재 1단계 사업 시행 중이라 데이터가 불안정하여 정확한 배분 기준 산출이 어려운 상황
- 금융당국, 올해 10월까지 의원 7만개, 약국 2.5만개로 실손 청구 전산화 2단계 확대 예정
한층 진화한 디지털 헬스케어… KB라이프 ‘KB건강매니저’ 새 단장
https://www.insjournal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5843
- 기존 건강정보 분석 서비스에 영양제 분석 서비스와 비급여 병원비 비교 서비스를 추가
- 고령화 시대에 대비해 금융과 비금융 서비스를 결합한 시니어 라이프 플랫폼 구축
'네카토 보험 도전 2년' 전략이 성과 갈랐다
https://www.newsprime.co.kr/news/article/?no=678481
- 금융 플랫폼 보험업 도전 후 각기 다른 전략: 상품 개발(카카오페이), 판매채널 확보(토스), 비교 추천 서비스(네이버페이)
[제18회 아시아 보험포럼]韓中日 “AI는 시대의 대세… 보험영업 활용방안 모색해야”
https://insnews.co.kr/design_php/news_view.php?firstsec=1&secondsec=11&num=82939
- 한중일 3국 보험 전문가들이 모여 AI 기술이 보험 영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
- AI 활용을 통한 비용 절감, 고객 편의 강화, 판매 효율 증대 등의 장점이 있지만, 규제 이슈와 소비자 보호 문제 해결이 필요
- 일본에서 AI는 업무 자동화, 언더라이팅 및 보험금 지급 가속화 등 보조적 역할에 초점
- 중국의 생명보험 상품 자동화 플랫폼은 AI 기술을 활용해 고객 경험 개선과 비용 절감 효과
"상품 경쟁력 위해 업무 효율화"…보험사, AI 활용 가속
https://v.daum.net/v/20250313180604554
- 보험사들은 보험 가입 심사부터 보상까지 AI를 활용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음
- 보험금 지급 예측, 고객 이탈 예측, 챗봇/콜봇 서비스, 보장 분석 AI 등 다양한 AI 기술을 보험 업무에 적용 중
5대 은행AI 기업 1210곳 투자…자산관리부터 중고차값 조회까지 척척 #해빗팩토리
https://news.nate.com/view/20250313n36785
- 금융지주·은행들이 핀테크 기업 투자를 통해 AI 기술을 확보
- 금융당국은 AI 거버넌스 개발·활용 안내서를 제시할 예정이며, 업계에서도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요구
핀테크에 부동산·리테일 붙이니 '돈 되네' #해빗팩토리 #토스
https://www.etnews.com/20250319000250
- 핀테크 기업들의 서비스 모델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, 금융을 넘어 부동산, 쇼핑, 교통 등 실생활과 밀접한 영역으로 서비스가 확장
한화생명 '고객센터 태블릿 상담 서비스' 도입…대형 생보사 최초
https://www.news1.kr/finance/insurance-card/5721116
- 고령층과 청각 장애인 고객의 의사소통 불편 해소를 위해 도입
- 향후 금융 취약 계층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객 서비스 확대 계획
롯데손보, 생성형 AI로 보험 혁신 가속화…"자체 플랫폼 구축"
https://www.insjournal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5875
- AI 서비스 고도화와 새로운 생성형 AI 개발을 위해 'AI 개발 운영 플랫폼'을 구축
- 가입설계, 인수심사, 보험금 청구 등 다양한 보험 서비스에 AI 모델 확대 적용 계획
"메리츠도 손 뗐다"… 124만 계약자 운명은? MG손보, 청산 가나
https://www.insjournal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5835
- MG손해보험(MG손보) 매각이 다섯 번째로 무산되면서 청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
- 계약 이전이 어려워 보험계약자 124만 명이 직접적인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큼
"블루오션 펫보험 잡아라"…업계 경쟁 본격화
https://v.daum.net/v/20250318181046686
- 삼성화재를 비롯한 주요 보험사들이 130억 원 이상을 출자한 펫보험 전문 보험사 '마이브라운'이 출범 예정
- 마이브라운은 관련 상품 개발 및 판매, 미용 관련 서비스 등으로 펫보험 시장을 공략할 계획
[한투그룹 생보업 진출]② 보험사 없는 한국금융지주, 손보사 보단 '생보사' 우선 왜
https://www.bloter.net/news/articleView.html?idxno=633233
- 생명보험사의 보유 상품 만기가 길고 자산 규모가 크기 때문에, 금융투자업과의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
제3보험 상품 전문가 쟁탈전… 손보 인력 생보로 대이동, 삼성화재 30명 이상 채용으로 적극 대응
https://www.insjournal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5819
- 최근 제3보험 상품 전문가들이 손해보험사에서 생명보험사로 대거 이동
- 제3보험 시장 성장에 따른 생명보험사의 관련 상품 개발 강화와 오랜기간 제3보험을 다뤄온 손해보험사 전문가에 대한 수요 증가
지난해 GA 매출 108조원 돌파… “새 지평 열어”
https://insnews.co.kr/design_php/news_view.php?firstsec=1&secondsec=11&num=82936
- 지난해 GA 매출이 108조3704억원으로 2023년 대비 318.4% 급증
- 대형GA 수가 15.7% 증가해 51개사 및 대형GA 소속 설계사 수가 16.4% 급증
최근 보험업계는 마이데이터 시행, AI/디지털 전환 가속화, GA 성장, 펫보험 경쟁 심화 등 변화에 직면했으며, 금융당국의 규제 강화와 함께 보험사들은 자본건전성 확보 및 신규 수익원 발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🤖
감사합니다.
'IT > 인슈어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인슈어테크 인사이트] 2025년 4월 1주차: 보험업계 주요 뉴스 및 트렌드 분석 (4) | 2025.04.03 |
---|---|
[인슈어테크 인사이트] 2025년 3월 4주차: 보험업계 주요 뉴스 및 트렌드 분석 (1) | 2025.03.27 |
토스의 역사적 발전 (0) | 2025.03.26 |
AI로 만나는 새로운 보험 서비스 -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AI 활용 전략 (0) | 2025.03.26 |
인슈어테크 산업 발전 현황 및 시장 동향 (3) | 2025.03.17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대표연봉
- ai금융혁신
- 국제진료센터
- 세일즈자동화
- 헬스케어
- ga수수료
- 스타트업
- 토스
- Ai
- 핀테크
- 인슈어테크
- 디지털보험플랫폼
- 디지털헬스케어
- 독서리뷰
- 글로벌의료기관
- 클로드
- 급여결정
- 미래오피스
- 구글처럼생각하기
- 창업
- 보험개혁회의
- 주식투자
- 메가이포
- 헬스케어saas
- ai와업무환경
- GA
- 2025투자트랜드
- 인강공부법
- 카카오페이손해보험ai
- 카카오페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